본문 바로가기

제껴지다 뜻, 제치다와 젖히다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ecoideas14 2025. 3. 21.

 

제껴지다, 제치다, 젖히다 - 이 단어들의 정확한 뜻과 활용법

제치다

제치다는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 '경쟁 상대보다 우위에 서다', '일을 미루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 선수는 양옆에서 달려드는 상대 선수들을 제치고 골을 넣었다", "어떻게 나를 제쳐 두고 너희들끼리 놀러 갈 수 있니?", "신생 중소기업이 선두를 유지하던 대기업을 제쳤다"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젖히다

젖히다는 '뒤로 기울게 하다', '안쪽이 겉으로 나오게 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동사 뒤에 '-어 젖히다' 구성으로 사용되어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막힌 데 없이 해치움'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나뭇가지를 잡아 뒤로 젖혔다", "코트 자락을 젖히고 앉다", "노래를 불러 젖혔다", "웃어 젖혔다"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껴지다와 제끼다, 재끼다

제끼다와 재끼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이 두 단어 대신 '제치다'와 '젖히다'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상대팀을 가볍게 제끼다/재꼈다" 대신 "상대팀을 가볍게 제쳤다"라고 해야 하고, "노래를 불러 제끼다/재꼈다" 대신 "노래를 불러 젖혔다"라고 해야 합니다.

정확한 표현으로 말의 의미를 전달해요

오늘 살펴본 것처럼 제껴지다, 제치다, 젖히다는 서로 다른 의미와 사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단어들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해요.
앞으로도 이런 헷갈리는 표현들을 꾸준히 공부하고 연습해 보세요. 여러분의 말이 더욱 정확하고 명확해질 거예요. 화이팅!

제껴지다와 제치다, 젖히다의 차이점 정리

  • 제치다: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 '경쟁 상대보다 우위에 서다', '일을 미루다' 등의 의미
  • 젖히다: '뒤로 기울게 하다', '안쪽이 겉으로 나오게 하다', '-어 젖히다' 구성으로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막힌 데 없이 해치움'을 나타냄
  • 제끼다, 재끼다: 잘못된 표현, '제치다'와 '젖히다'를 사용해야 함

이렇게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면 말의 의미를 더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꾸준한 연습으로 이 단어들을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게 되세요!

댓글